19
2011-Apr
Express 카드의 규격과 종류, 그리고 USB 3.0
작성자: 블루
조회 수: 5985
안녕하세요 블루입니다 ^^;;
가입 인사를 제외하고는 첫글이네요...
얼마전 홀릭에 USB 3.0과 E-SATA란 글을 올렸었는데.. (USB 3.0글 2개를 포함해서 총 5개의 글이었습니다 ㅜㅜ)
아쉽게도 다 지워버렸네요 ^^;;
올드타임님이 올려주신 Express USB 3.0 카드를 보고 저도 구입할까 고민하면서 글 하나 올려봅니다. ^^;;
일단 사진의 PCMCIA Express USB 3.0 이란 카드는 없습니다..
PCMCIA와 Exppress 카드는 서로 다르거든요 ^^;;
아마도 셀러가 뭘 착각하고 DB이미지를 잘못만든 듯 합니다...
PCMCIA는 PCI에 뿌리를 둔 규격이며, 32비트 카드버스를 지원 할 경우 32비트(4바이트)버스에 33MHz로 동작합니다.
최대 133MB/sec의 대역폭을 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실효치는 대충보니 약 45MB/sec가 한계네요.. (E-SATA 카드로 측정)
그래서 PCMCIA 방식으로는 USB 3.0은 의미가 없어서 아마도 나오지 않을 듯 합니다..
Express USB 3.0 카드.. 아직은 반쪽짜리 USB 3.0이네요 ^^;;
Express 규격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.. Express 34와 54..
아래의 이미지를 보시면 이해가 빠르시리라 생각됩니다..
PCMCIA / Express 54 / Express 34 순입니다.
Express 54 와 Express 34의 실사진입니다.
34와 54가 공존합니다.. 보통 서브나 미니등 랩탑에서 34를 주로 쓰고.. 올인원 이나 준 올인원에서 54를 주로 쓰네요..
Express 54 슬롯에는 Expresss 34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.
좌우 유격이 좀 있기는 하지만 그것만 주의하면 쓰는데에는 문제 없습니다. ^^;;
Express 카드는 PCI-Express 1배속 규격의 모바일 랩탑을 위한 규격입니다..
PCI-E 1배속이 2Gbps의 대역폭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3.0의 5Gbps의 모든 성능을 낼 수 없는게 아쉽네요..
쉽게 말해 병목현상이 생기기에.. 2Gbps 이상의 대역폭을 쓸 수 없습니다..
그래도 USB 2.0에 비해서 4배 이상 빠르니.. 쓸만합니다 ^^;;
USB 3.0 외장 케이스를 쓰시면 약 110MB/sec의 대역폭을 낼 수 있더라고요..
SSD를 제외하고 왠만한 하드라면 성능 저하 없이 쓸 수 있을 듯 합니다..
USB 3.0이 제 성능을 내려면 PCI-E 4배속이상으로 연결되거나..
ICH에 내장되는 형태가 되어야 풀스피드를 낼 수 있습니다..
데탑에서는 PCI-E 4배속으로 연결되는 고급 메인보드를 볼 수 있지만..
랩탑에서는 아직 1배속만 지원되네요..
샌디브릿지 다음 칩셋에서 지원되길 기대해 봅니다.. ^^;;
그럼 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^^
-블루-
Express 34 Card 를 Express 54 슬롯에 넣을때 유격이 조금 있는 것을 잡아주는 파츠도 있더군요..
참조 자료 입니다..
블루님께서 좋은 참고자료를 올려 주셨군요.
혼란을 막기 위하여 제가 구입했던 곳을 링크합니다. ^^
다양한 환경에서 속도의 평균율을 측정해보지는 못했지만,
제 경우는 만족했습니다. (외장하드 사용)
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고 문제가 된다면 레오킴님과 상의 후,
공구를 하지 않겠습니다. ^^
예 맞습니다. Express 에는 USB 2.0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 ^^;;
WWAN 같은 경우 USB 2.0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디바이스죠.. ^^;;
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참고 이미지 하나 올려봅니다 ^^;;
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^^